…rein의 경우 제일 화내거나 짜증 낼 때는 저자와 생각이 정반대다 이럴 때가 아님. 아마도
- 번역의 질이 나쁜 경우
- 단어 선택이 부적절하거나 호응이 맞지 않는 경우
이 두 가지가 제일 심한데, 오전에 출근하면서 읽었던 "재미 이론"이란 책에 상당히 부분적이긴 하지만, 첫 경우에 해당하는게 있다.
사실 책 본문에 있는 것은 아니고 미주에 있는 내용이 문젠데 – 사실 이 책의 미주로 처리된 부분의 상당수는 각주로 처리되었어야 한다고 느껴진다 – 몇 몇 단어의 오역도 아니고 "잘못 읽었다" 수준의 것들이 있다.
바로 46페이지의 훈련에 달린 미주인데, 그대로 인용하면
현대 컴퓨팅의 아버지로 알려진 앨런 튜링은 ‘터닝의 정지문제’라는 것을 고안한 사람이기도 하다. (중략)
이미 계산된 적이 있는 것이라면 그 어떤 것도 계산될 수 있다고 말하는 처치-터닝 논문에 있다.(하략)
읽는 순간 "뭔가 이상하다"라는 느낌이 드는 당신은 전산학/컴퓨터공학 전공자 혹은 연관된 사람.
…이탤릭처리한 부분이 내가 지적하는 문제가 있는 부분.
우선 첫번째가 ‘터닝의 정지문제’라는 것인데 이건 바로 "Turing’s halting problem"이다. 아마도
Turing → Tuning
으로 읽고 "터닝"이라고 옮긴 것 같은데 Orz. 앞 부분은 어떻게 제대로 읽은거냐! 그리고 halting problem 이런 용어는 제발 전산 전공자한테 물어보자. 한쿨임이라는 게임 개발자 모임에서 감수했다는데 설마 전산 전공자가 없단 말인가;
두번째도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오류.
책 내용 자체는 꽤나 흥미롭고도 관심이 가는 내용 – 게임이 어떻게 재미를 주는가를 최대한 풀어본다 – 이라서 계속 볼 것 같긴하지만, 속인 쓰린 것은 어쩔 수 없겠다.
+ 추가
방향 그래프가 뭔가효(…).
Muzeholic / 블로그 퍼감 문제도 그렇고 뭔가 맛스타씨랑 나랑 컨텐츠를 보는 관점이 완전히 다른 거 같다고밖엔 생각 못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