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데스크탑에 ssd + hdd 구성이면 파티션은 어떻게?

내일 입사하시는 분이 사용할 용도로 데스크탑 머신 + 모니터(U2412M) 두 대가 왔다.

포장 풀고, 등록된 MAC 주소가지고 도메인 주소 설정하고, PXE 로 OS 설치 시작.

현재 설정된 preseed가 작년에 지급되던 데스크탑(i7-2600, hdd 구성) 기준이라, 이번에 지급되기 시작한 데스크탑(i5-3750, ssd + hdd 구성) 이랑 좀 안 맞아서 수동 설치를 해봤다.

좀 고민하다가 결국엔

  • / 와 swap 용으로 hdd를 (boot flag 걸고)
  • /home 용으로 ssd를

설정했다.

빌드를 하거나 뭘 하거나 대부분은 ssd에서 할테고, 프로그램 류는 한 번 page cache에 올라가선 아마 안 내려올테니 (…) 그냥 잘 돌거라고 믿기로 했다.

(먼산)

 

혹시 경험적으로, 혹은 측정치로 추천하는 구성이 있으시면 좀 알려주십시오 (…).

Jinuk Kim
Jinuk Kim

SW Engineer / gamer / bookworm / atheist / feminist

Articles: 935

4 Comments

  1. SSD 용량이 얼마나 되나요? SSD를 쓰면서 느끼는 건 대용량 데이터를 제외하곤 모조리 SSD에 올라가야 체감 성능이 오른다는 것. root를 하드에 넣으면 부팅속도부터 해서 속도 체감이 별로 안 날 것 같군요. 저 같으면 일단 SSD에 기본적으로 다 깔고 용량 많이 차지하는 작업만 별도로 HDD에서 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암튼 저의 경험으론 HDD에 자주쓰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암달의 법칙이나 최소량의 법칙 마냥 체감되는 성능이 팍팍 떨어지더라고요.

    • SSD는 128GiB 짜리던데요.
      근데 전 SSD보다는 램디스크 달아놓을 때가 체감 성능이 더 좋았던 것 같아요 (…).

      흑흑 담번에 저에게 SSD가 달린 머신이 오면 그땐 / 에 SSD를 걸고 /home에 HDD를 걸도록 해보겠습니다 (…)>

  2. 네 저도 위에 minjang 님 생각과 비슷한데, 루트를 SSD로 잡고 홈 디렉토리 아래쪽을 HDD로 해주는 것이 SSD를 더 잘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아니면 홈 디렉토리 안쪽의 특정 폴더들만 HDD로 잡는 방법도 있겠네요 (~/Music/이라던가).

    • 오늘 입사하신 분은 그냥 쓰신다고 합니다 (…).

      사실은 제가 “LVM으로 묶어서 쓰세요” 같은 개드립을 치고 있었지만 (……..).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