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

LHC에 관한 책을 딱 한 권만 읽고 싶다면? 에 나온 책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을 읽다 느낀 점. 대학과 대학원을 거치는 동안 물리학이라곤 4학점 * 2학기 과목을 교양과목으로 신입생 때 들은 것 뿐이라 내 이해수준이 매우 조야하다는 것이 제일 컸고(…).

내 조야한 이해 수준에도 불구하고, 책은 매우 즐겁게 읽었다. 얇지 않은 책이지만 대략 이틀 만에 다 봄. “엘리건트 유니버스”를 읽고 나서 LHC가 만들어진다는 점에 대해 꽤나 관심이 있었는데, 여기에 더 궁금하게 만들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설명해준 덕에 LHC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진 듯.

아래는 약간 방향이 다른 리뷰(…). 사실 이건 제가 책 내용에 대한 기반 지식이 부족해서 그렇습니다 Orz.

1. 책의 전체 방향이랑은 조금 다른 얘기지만, 중간에 인용된 글 한 토막을 여기서 다시 인용해본다. (강조는 저자 분이 한 것)

패스토어 (로드 알랜드 주 상원의원): 이 프로젝트가 소련과 경쟁 관계에 있는 우리에게 제시하는 바는 없습니까?

윌슨 (페르미 랩의 설립자): 오직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술 발전에 있어서만 그렇습니다. 그 외에는 가속기는 이런 것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좋은 화가인가, 좋은 조각가인가, 훌륭한 시인인가와 같은 것들, 제가 말씀 드리는 것은 이 나라에서 우리가 진정 존중하고 명예롭게 여기는 것, 그것을 위해 나라를 사랑하게 하는 것들 말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새로운 지식은 전적으로 국가의 명예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나라를 지키는 일과 관련 있는 것이 아니라, 이 나라가 지킬 만한 가치가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금 한국과, 한국의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은 “한국을 지킬 만한 가치가 있는 나라”로 만드는 부분을 늘리고 있는가? 이런 생각을 하니 굉장히 가슴 한 켠이 서늘해지더라. 정말 지킬 가치가 있는 나라인가?

 

2. LHC의 건설 비용과 운용 비용에 관한 것. 건설에 CERN이 사용한 비용은 6조 3000억 원. 그리고 검출기와 기타 시설 비용까지 추정하면 대략 10조 원 수준이라 한다. ((물론 책의 내용에 따르면 LEP 실험 때 이미 다음 세대의 가속기를 생각해서 터널을 파놓았기 때문에 그 부분의 비용은 추가로 들지 않아서 이런 거라곤 하지만)) 운영비는 연간 약 2250억 원, 각 실험 팀의 실험비가 약 400억 원 정도로 예상된다고 한다. ((책 446~447 페이지에 나온 내용)) 내가 국가 규모의 예산을 이해할 능력이 없긴 하지만, 이 비용이 정말 큰가? 특히 내가 이 글의 1에서 인용한 내용을 생각하면 정말 큰가? 사대강의 올해 예산이 10조 원이란 주장도 있는 걸 생각하면 말이다… ((한겨레 신문의 보도 참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28782.html))

예산을 더 들일수록 아마 그 기대 이익이 감소할 (수확체감; law of diminishing returns) 도로나 항만, 공항 같은 기반 시설에 돈을 계속해서 쓰는 게 유의미한가? (물론 기존 인프라를 유지 보수하는 비용이야 어쩔 수 없다고 해도) 과학과 문화에 대한 `사회 간접 자본’은 만들 생각이 없는가? 하다 못해 건물만 번드르르 지어놓은 도서관에 책이라도 채워 놓아야 하지 않을까.

 

3. LHC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에 더 관심이 가는 건 어쩔 수 없나(…)

Jinuk Kim
Jinuk Kim

SW Engineer / gamer / bookworm / atheist / feminist

Articles: 935

8 Comments

  1. 저도 사서 보고 있는데 대신 물리학 내용을 다 이해하고자 하니 시간이 엄청 걸리는군요. 적어도 “힘을 매개하는 입자”와 같이 고교시절에 제대로 배우지 않은 개념(우리때는 물리 2에서 유카와 히데키 중간자까지 교과서에 나오기는 했음)에 대해 정확히 알게 되어 무척 기쁘다는.

    여담으로 월스트리트 25개 상위 업체의 임직원 월급 비용(compensation and benefits)이 2010년에만 $135B, 우리돈으로 140조원이 넘는군요; (골드만 삭스는 직원 산술 평균 연봉이 60억에 달한다고… 물론 중간값은 훨씬 낮겠죠.) 한편, 위키에 따르면 NASA 우주왕복선의 2011년까지 “총 예산”이(30년 동안) 인플레이션 고려해도 $196B 입니다. 월스트리트 임직원 “1년치” 연봉에 견줄만 하네요…. NASA는 1년에 $1~3B를 아낄려고 스페이스 셔틀 프로그램을 접었다는… 그러니 $10B 정도가 소요되는 LHC 같은 것도 비용 문제로 고민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

    또 잡담으로… 만약 지난 대선에서 정동영이 당선되었다면 4대강 사업은 안 했겠죠. 그런데 적어도 그 사업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토목 사업은 했을 겁니다. 분명 토목 사업으로 일자리가 생기고 그걸로 밥 먹고 사는 사람이 있거든요. (물론 중간에 뇌물먹는 공무원도 있겠고..) 그래서 정권 막론하고 토목사업을 벌리게 됩니다. 새만금, 신행정수도, 행복도시건설, 송도 신도시건설, 쓸데없는 지방공항건설, 일부KTX구간… 모두 수조, 수십조에 해당하는 국책토목사업이었죠.

    월스트리트 연봉, 토목사업 예산과 비교되는 과학 예산은 우리나 외국이나 초라하기는 마찬가지인듯;;

    • 네 실제로 `돈이 되는 곳’ 혹은 `이권 사업’ 에 들어가는 돈의 규모와, 과학이나 문화, 예술 같은 곳에 들어가는 돈의 규모를 비교하면 한없이 우울해지죠.

      그래도 실제로 돈을 쓴 사례에서 LHC를 건설하고 운영하는데 쓴 돈과, 땅 파는데 (내 세금 ㅠㅠ) 돈 쓴 거랑 비교하면 슬퍼지는건 어쩔 수 없지요. 그래서 전 정권을 막론하고 저런데 쓴 돈을 생각하면 직/간접적으로 낸 세금이 너무 아까워서 Orz.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