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개봉한 영화를 ((다빈치 코드를 책으로 읽고 영화는 차마 볼 수가 없었다. 이 경우에도 비슷한게 성립할듯 하다)) 이제야 본거긴한데; 여튼 짤막한 감상.
영화 자체는 댄 브라운이 쓴 글 답게 진행된다. 뭔가 영화 만들작정으로 쓴 것인지 구성 자체도 영화만들기 좋게 되어있었음; 약 5시간 동안 벌어지는 일들을, 천주교의 콩클라베(Papal conclave) 를 배경(?)으로 삼아 진행된다. 전체적인 구도는 천주교단 + 로버트 랭던 교수(=이하 주인공 측) vs. 비밀결사인 일루미너티의 형태로 진행된다.
일루미너티가 폭탄(무려 반물질이라니(…) )을 설치하고, 네 명의 추기경을 납치하고 이를 차례로 죽이려는 시도를 하고, 이걸 주인공측에서 막으려는게 큰 줄기. 다만 탐정(….)역을 하는듯한 로버트 랭던 교수는, 다빈치 코드에 이어서 여기에서도 열심히 뒷북 탐정질을 하고, 캐릭터들이 참 전형적인 느낌을 준다는건 큰 단점. 이렇게 둔한(혹은 멍청한?) 탐정이라니; 게다가 기호학 교수라는게(그것도 천주교 관련 연구도 하는) 라틴어도 모르고, 그 직계 후손인 이탈리아어도 몰라. Orz
특히 이런 점을 느끼게하는게, 폭탄 수색이라곤 (적어도 스크린 상에선)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걸로 추적하는거 밖에 없고, 범인이 짠 시나리오대로 범인 뒤를 쫓기만(…정말로 쫓기만) 하는스토리라는게 -_-;;;
그리고 상당 수의 스토리 전개가 우연에 의존하는 부분이 크다는 것도 단점; 그렇지만 댄 브라운이 “어떻게든 책장을 넘기게 만드는 일”은 잘하기에(이거 칭찬이다), 영화 자체도 그런대로 즐겁게 볼 수 있었다. 특히 로마 시내와 바티칸이라는 역사 유적이 가득한 공간을 뛰어다니는건 정말 매력적.
하지만 컴퓨터 공학 전공자로 태클을 안 걸 수가 없다. 극 중에 설치된 폭탄을 무선 카메라 영상으로 보고, 여기에 조명이 켜져있다. 이걸 가지고 폭탄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바티칸(+로마?) 곳곳의 조명을 순서대로 껐다 켜서 위치를 추척하려고 시도한다. 근데 이거 보면 굉장히 한심해 보이는데, 이유를 설명하자면,
- 무선 카메라면, 그 신호를 삼각측량하면 된다. 적어도 범위는 대폭 줄일 수 있다.
- 조명이 유선 전원에 연결되어있다는 보장이 어디있지? 극 중에서는 실제로 유선 전원에 연결되어 있긴 했지만…
- 차례차례 하나씩 전원을 차단해서 껐다 켰다하는데, 사실 이건 컴퓨터 공학에서 흔히 말하는 sequential search(순차 검색?)에 해당한다. 전체 중 절반만 껐다 켜보고, 만약 조명이 꺼졌다면 그 구역 중 다시 절반에 반복, 꺼지지 않았다면 다른 쪽에서 다시 반복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binary search를 했다면 훨씬 빨리 폭탄을 찾았을 것이다. ((예를들어, 대략 1000개의 구역으로 전원이 분할되어 있다면, sequential search는 최악의 경우 1000번, 평균적으로 500번 시도해야는데 binary search 는 최악의 경우에도 10번만 시도하면 된다.))
정도? 심지어 binary search 같은건 내가 대학 입학할 때 면접 문제 중 하나인 수준인데, 그 많은 주인공 측 인물들이 이거하나 생각 못한다는게 좀 -_-;
예끼놈 이 공돌이 같으니
…
왜 그러시나요 공돌님(?).
ps. 내 뒤로 “그거 삼각 측량안되지”를 주장하는 L모씨가 지나갔다(…)
바이너리 서치 일반인들이 잘 떠올리지 못 하는 방법인 것 같더라고요.
그런지도 모르겠군.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