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2등인데는 다 이유가 있다

2등 기업이 괜히 2등 기업이 아니란 말을 할 때가 있다.

한국 내의 전자 회사 중 계속해서 2위만 하고 있는 LG 전자란 회사가 있다. 왜 2등일까? 1등이 잘해서?
사실 삼성전자의 분위기나 일하는 태도를 보면 그럴만 하단 생각이 든다 — 그렇게 빡쎄게 일하는 곳이 없거든 -_-;

하지만 LG전자에서 일하는 친구, 선배, 후배들 얘기를 보면 하나같이 하는 얘기가 있다.

일하는데 방해될 거리를 잔뜩 만들어요

초난감기업에서 봤는지 기억이 잘 안나는데, 직원들이 높은 효율로 일하게 하려면 “능력개발” 만큼이나 “나쁜 환경을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얘기가 있다. 즉, 직원이 효율을 못내는 것은 언제나 직원 개인의 문제인게 아니라 회사의 구조적인 문제가 직원이 일을 하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

LG 계열사, 특히 LG 전자 쪽에 악명 높은 일 중 하나는 “LG파워콤 강제 할당+판매 / 인사고과 반영” 이다.

신문기사 인용, 시사한국 2007년 7월 2일자.

LG파워콤에 대한 그룹차원의 조직적인 지원이 내부 직원들의 반발로 이어져 물의를 빚고 있다.

지난해 9월 계열사 직원들에게 초고속 인터넷 판매를 강제할당한 혐의와 관련,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은 바 있는 LG파워콤의 영업 행태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략)

한동안 잠잠하던 LG파워콤의 강제할당이 다시 쟁점에 오르게 된 계기는 몇몇 인터넷 동호회 게시판과 포털사이트 등에 파워콤 신규 가입자 모집 글이 대량으로 올라오면서부터다. 한 동호회 게시판에는 ‘임시 파워콤 전용 게시판’까지 생겼을 정도. 한동안 LG 계열사 직원임을 밝히고 파워콤 가입을 부탁(?)내지 호소(?)하는 글로 도배되다시피 하던 이 게시판에 지난 4월 말 파워콤 영업점의 항의글이 올라오면서 영업점과 직원들 사이의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게시판은 결국 5월 중순에 이르러 ‘사용중지’ 공지를 띄우고 폐쇄됐다. 그간 특정업체 임직원을 사칭하는 사기가 자주 발생하고 지나친 과열경쟁이 일어 게시판 사용을 중지하게 된 것이다.

(하략)

뭐 작년 여름즈음해서 클리앙에도 잠깐 LG 파워콤 판매 게시판이 생겼다 사라졌고(…), 잘 알려진 웹 게시판들이 저런 류의 판매글로 몸살을 앓았던 적이 있다 -_-;

최근에 병역특례로 LG전자에 간 ((LG전자 등의 회사는 전문연구요원만 가능해서 석사/박사 학위 소지자들만 가능하다)) 친구 A모군이 게임회사인 N모사로 이직하게 되었다. ((아쉽게도 내가 있는 N모사고 끌고오는건 실패 -_-;; 다른 동기들이 모여있는 N모사로 갔음))

A 모군의 LG전자 입사년도인 작년(2007년)에 파워콤 강제할당 (1 인당 10개씩)이 들어왔다.

그리고 강제할당을 달성하지 못하면 인사고과에 불이익이 있다라고 했다.

통상적으로 신입사원의 입사년도에는 인사고과가 무조건 B ((A, B, C 그리고 거의 못받는 최고등급 S가 있음. B면 대략 평균으로 보면됨)) 로 고정되기 때문에, A모군은 3개를 팔고 배를 째고 있었다. 그랬더니 팀 전원을 그룹장이 불러서,

얘가 다 못팔면, 팀 전체의 인사고과에 반영하겠다.

라고 설명(협박?)해서, 결국 울며 겨자먹기로 약 한 달간 껀당 LG파워콤에서 나오는 보조비 3만 + LG전자에서 나오는 12만 + 자기돈 10~20만을 꼴아박아 개당 25~3x만의 보조금을 쥐어줘가면서 억지로 팔았다. 그러고나니 그 회사에서 일하기 참 즐겁겠지?

이런 일을 겪고난 친구 A 모군은 병특 이직이 가능해지는 18개월시점에서 바로 이직 프로세스를 밟기 시작했다. ((사실 나라도 이런 환경이면 이러고 있겠음 -_-;; ))

 

내 학번 동기들, 그리고 내가 연락이 되는 한 두학번 위, 한 학번 아래 정도까지 애들을 보면, 주로 가게되는 기업이, 삼성전자, NHN ((특이하게 다음은 거의 안거더라고?)) , LG전자, Nexon, NCSoft 등이다. ((대략 이 순서는 내 주위에서 한 회사에 아는 학부 선후배가 많은 순으로 보면 된다)) 근데 LG전자는 갔던 사람들도 한 두해 후에 거의 이직한다 -_-;; 자기 업무가 아닌 업무에 들어가는 시간이 많다고 -_-;;

비슷하게 동기 한 명도 저런 경우를 밟았고 (병특은 아님), 3년 선배 한 명도 2년 팔더니 다른 회사로 옮기더라 -_-;; 파워콤 꼴도 보기 싫다고(…)

LG 전자가 2등이 아니고 싶다면 멍청하게 파워콤이나 팔고 앉아있을게 아니라 자사 직원들이 “일할 수 있게” 만들어봐야 할 것이다.
같은 조건 ((인센티브는 삼성전자가 많다-_-; )) 이라면 파워콤 팔아야하는 회사에 가겠냐 아니면 자기 업무 보는 회사에 가겠냐?

Jinuk Kim
Jinuk Kim

SW Engineer / gamer / bookworm / atheist / feminist

Articles: 935

35 Comments

  1. 댓글에 S전자 이야기 … TN 입니다만
    요새는 자기하기 나름이랍니다 … ;;; (너무 개인적인가;)
    개발용 출장을 가면 좀 빡시게 하긴 합니다만 부서 전체가 20시간 야근을 하진 않아요. 저만해도 0에 수렴 중 ..
    물론 간부급은 엄청난 양을 하긴 함. 보는 사람이 안쓰러울 정도임;;

    머 이 이야기는 다른 쓰레드에서 다뤄주셔도 글타래가 엄청날 듯ㅋ

  2. 본문의 A모 군입니다.(…)
    rein군이 잊고있었던 작년의 안좋은 기억을 떠올리는 글을 쓰겠다고 저한테 초안을 보여주면서 ‘써도되냐’라고 하길래 그러라고 했습니다.

    사실 제 이직 사유는 일의 내용 자체지 저것과는 상관 없습니다. 저건 ‘다른 조건이 다 같다면 LG말고 다른데 간다’ 정도의 비중이랄까요.

    하지만 작년 저 ‘loyalty 실적올리기’를 하면서 회사에 가지고 있던 좋은 감정이 싹 사라진 건 사실입니다.
    90년대초 서울에서 초등학생들의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LG트윈스부터 해서, ODD도, 모니터도 LG걸 최고라고 써오며 LG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들어온 회사였는데 회사가 사원들을 저런식으로 대하는 걸 보니 이놈의 회사 망하든 말든 내 알바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죠.

    위의 xiah님은 좋은 상사를 두고 계시나보네요.
    팀장-그룹장-소장-사장-부회장까지 다 아래 조직별 달성률을 일별로 집계를 해서 낮은 조직을 못살게 구는데 (상부 보고용 그룹원 일별 실적 엑셀 파일을 제가 매일 업데이트했습니다.) xiah님 주변분들은 그 압박을 못받았다는 건 저 단계의 누군가가 위에서 내려오는 압박을 무시했다는거겠죠.

    제가 작년 4월20일에서 8월7일까지 관련 메일 받은게 247통입니다.
    저 위에 써있는 내용도 전부 과장 하나도 없는 사실이고, 입사 동기 선배와 함께 지하철 역 앞에다 책상 옮겨놓고 대놓고 판매(라고 쓰고 회사망신시키기라고 읽음) 해볼까 하는 생각도 진지하게 했습니다.

    그 메일중의 내용 하나만 보여드릴까요? 가공 및 수정을 하나도 하지 않은 원문 그대로입니다.

    ===========================================================
    지금 한창 그룹장 회의 중입니다.

    제가 지금 엄청난 비난을 받았습니다.
    누구한테인지 알겠지요?

    지금까지 삐콤씨를 잘하라고 얘기를 하는데,
    일부는 무시하는 듯한 태도이고 일부는 불가능한 듯한 표정을 짓고 봐달라고 하는 표정을 짓는데…

    예외는 없습니다…
    6월말까지 10건을 다 하기로 약속까지 했는데…

    이번 주까지 10건을 다 채우지 못할 분들은 오늘 퇴근까지 나한테 개인적으로 알려 주십시오.
    전사적으로 이렇게 떠드니, 제가 막지 못할 여러가지 불이익은 감당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저도 불이익을 드리겠습니다.

    분명히 얘기하겠습니다.
    심할 정도의 불이익이 올 것입니다.

    삐콤씨 이거 굉장히 심각합니다.

    PL들은 그룹장의 지시를 제대로 팀원들에게 전달하고 있는지 Check하겠습니다.

    이상..
    ===========================================================
    상황이 이러니 팀장이나 그룹장을 욕할수도 없고 ‘이놈의 회사 망해버려라’하는 회사 자체에 대한 반감만 가질수밖에요.

    그 뒤로는 L자 들어가는 상품은 TV든 모니터든 쳐다보지도 않습니다.
    회사는 저를 통해서 파워콤은 10개 팔았겠지만, 대신 고객 한명을 영원히 잃었습니다.

  3. jindog //
    흠…좋은곳에 계시나봅니다;; 뭐 제자신도 0에 수렴중이지만 그건 프로젝트 진행을 밍기적거리는 매니져들의 문제에 가까웠던 거구요.

    저도 S사 TN입니다만…부서별로 정말 극과 극을 달리네요. (그냥 주변을 둘러봐도…) 저희쪽 제가맡은부분 말고 다른쪽은 장난아닙니다. 거의 매일 4 or 6시간씩 야근을 하고있고,(사업부도 아니고 연구소입니다. 뭐 무늬만 이긴하지만) 이번부터는 토요일도 8시간씩 일하라고 하더군요? R&D를 한다면서…근태를 잘하면 일이 잘 되나보더라구요. -_-;;

    물론 개발자들의 자질에도…문제가 좀 있는건 사실이긴합니다만;;(아무래도 대부분이 전자공학과를 나온게 사실이고, 코딩스킬이 좀…그렇습니다;; 좀 주먹구구식으로 하는 경향이 있죠) 여기 사람들이 하루이틀 있었던 것도 아니고 어느정도 양의 일이면 어느정도의 기간이 걸리는지는 다 알고있을겁니다. 그런데도 기간을 줄여서 야근해서해. 라는 문화는…

    제 생각에는, S전자의 태생이 제조업이라서 그런게 아닐까. SW를 중요시하는 문화가 -우리나라 자체적으로 좀 적긴하지만- 없어서 그런것일까. 라고 그냥 추측만 하고있습니다. 더불어 이 상태를 답보한다면 국내 1위는 하겠지만…세계1위는 절대 못간다고 봐야죠.

    S전자 인정하는건…제조업은 쵝오 -_-b;;; (메모리나 패널만드는거보면 뭐.)

  4. A모 / 화이팅[…]

    jindong, kalstein / 뭐 여러가지 사정이 있겠지만(기업조직이 크니), 일단 이 글에서 야근얘기는 살짝 별게입니다[…]

    제 성향(?)은 야근은 필요하면 (…) 할 수도 있다인데 딴 일 시키는건 죽어도 못할 성격이라 -_-a

  5. // rein
    네 저도 필요하면 야근 좋다 이거죠…근데 필요없는 야근이 문제인거 아니겠습니까;;; 저 위에서 지시사항으로 ‘토요일 8시간 근무준수’ 라고 내려오는게 문제. -_-;;

    그리고…
    1. 6개월은 족히 걸릴꺼 같은걸 3개월에 해라.
    2. 3개월내에 어차피 못끝내는거 아니까, 열씨미라도하자.
    3. 조낸 야근
    4. 어차피 기간은 딜레이됨. -_-; (데모는 3개월에 성공할지 모르나, 코드품질은 안드로메다로.)

    요런게 문제라는겁니다 ^^;

    • 뭐 저도 비슷한 경우를 둘 전해들었죠.

      하나는 삼성. 토요일 오후에 회의를 잡아놓는 센스
      나머지 하나는 LG. 토요일 오후에 파견 나온 외국인 직원 피자 시켜주러 출근하더군요.

      참고로 저 두 경우 모두 R&D 직원/석사 졸업자 입니다 -_-;

  6. L전자, S전자 모두 대기업으로 적당한 사람들이 적당한 일 하면서 이익을 내는 구조라 그런 것 같습니다. 저도 다른 대기업에 다니지만.. 제 느낌에는 대기업은 원래 그정도인 것 같습니다. 똘똘한 사람이라면 느리고 조직 중심의 대기업 보다는, 작고 기민하고 영리한 조직에 들어가는 것이 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7. 1위라고 할당이 없을까요.

    삼성자동차 시절을 생각해봄..

    통신업을 안하니 그래 보이는 것뿐일 것 같은데요.

  8. 제가 아는 분야인 전자/전산 분야만 놓고 한 이야기입니다. 그 쪽은 동기가 하나도 없어서 모르겠군요.
    (사실 이 글 자체가 S공대/K공대 기준입니다)

  9. 주제와 다르지만.. 이제는 LG전자가 1등이 되었더군요. 영업이익을 비롯해서 비교가능한 지표상에서 삼성전자를 압도했으니깐요.

    이제는 좀 잘해줬으면 합니다. 엉뚱한 일은 시키지 말았으면 하네요.

    • 죠커 / 지금 대로라면 앞으로는 “글쎄요” 라고 생각하지만 이젠 더 이상 신경쓸 회사가 아니니 적당히 하렵니다.
      + 조만간 동기놈의 LG전자 모 연구소에서의 이직이 끝나면 포스팅 하나 할 예정입니다.

  10. 아마도 95%이상 lg전자로 갈 거 같은데, 이 글을 다시 보니 울적하군 ㅋㅋ 어쩔 수 없지 ㅠ

Leave a Reply